는 non-breaking space1no-break space라고 하기도 함. 유니코드 U+00A0.의 Name Code 표기입니다.

HTML에서 여러 띄어쓰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하곤 하지만 본래는 줄 바꿈을 방지하는 공백입니다.
영어에서는 문자 단위가 아닌 단어 단위로 줄을 바꾸는데, 이 때 공백으로 구분된 두 단어 사이가 줄바꿈으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글은 본래 NBSP 대신 공백(스페이스)을 &~;형식으로 작성하여 특수문자 오용을 줄이자는 취지였으나, 작성 도중 공백을 특수문자 형식으로 삽입해도 직접 스페이스바로 작성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어 &~; 형식의 특수문자 사용법에 대해 소개하는 내용으로 급선회하였습니다.

이처럼 다른 특수문자들도 축약된 이름을 이용해 표기할 수 있습니다.
표기에 사용되는 &도 글을 작성 중인 저는 &라고 쓰고 있습니다. 세미콜론은 ;이고요.
가장 직관적인 표기법입니다. 보자마자 무엇을 표현하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일부만 지원됩니다. 당장 공백만 해도 해당되는 것이 없고, ‱이나 👍👀 같은 것들은 감도 안 잡힙니다.

👀는 👀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형식은 Decimal Code, 번역하면 10진법 코드입니다. 유니코드에서 'U+'뒤 네 자리는 16진법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숫자를 10진법으로 바꾸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ASCII 코드도 이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숫자와 특수문자만 사용하기 때문에 어떤 언어를 입력하고 있던 상관이 없습니다.
자주 쓰는 특정 문자를 외워서 사용하기는 편하나, 직관성이 떨어집니다.

👀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Hex Code, 16진법 코드입니다.
16진수를 표기할 때 먼저 0x를 표기하는 것처럼 숫자 앞에 x를 표시합니다.
글자 하나가 늘었지만 더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유니코드를 그대로 받아적으면 되니까요. 다만 한글로 작성 중일 때 한/영 키를 눌러야 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아기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어쩔티비 한 번 하고 마칩니다.
🤷📺
코드는 🤷📺입니다~

1
no-break space라고 하기도 함. 유니코드 U+00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