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이것이 원인이라 말하고 싶지 않아요. 그런데 해결됐는데 어쩌겠어요... 이 경험을 공유해드리는 수밖에...
방법
- User Agent를 바꾸는 부가기능을 설치한다.
- 뭐든 크롬 계열을 선택한다.
- 화이트리스트 설정을 하면 편하다.
설명
User Agent란?
User Agent는 쉽게 말해 사용자 정보를 적어놓은 명찰입니다. 어떤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를 쓰고 있는지 적혀있어요.
이게 있는 이유는 각자 환경에 맞는 웹사이트를 적절히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브라우저마다 지원하는 기능이 다르고, 운영체제마다 또 다르거든요. 그 쉬운 예시가 액티브 엑스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 가능했었기 때문에 과거 한국의 몇몇 사이트들은 크롬 브라우저로 이용할 수가 없었어요.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다면 다른 방법을 제시하거나, 적어도 그게 지원이 되지 않는다고 표시해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User Agent가 필요합니다.
브라우저
브라우저는 엔진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 크로미움 계열이 가장 보편적이예요. 구글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가 이쪽입니다. 그리고 모질라 계열, 파이어폭스와 파생 브라우저들이 있습니다. 별개로 애플의 사파리가 있는데 여기도 나름의 문제가 있지만 오늘 다룰 내용은 아니니 생략하겠습니다.
문제는 크로미움 계열이 구글에서 개발한 것이고, 유튜브 또한 구글이 모회사라는 점입니다. 세계 1등 브라우저와 세계 1등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같은 회사니 서로 표준을 만들어냅니다. 애플은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니 걱정할 것 없지만, 모질라는 브라우저가 웹을 따라가야 하는 실정입니다. 일례로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사이트인 치지직의 경우에는, 파이어폭스 지원을 완벽히 해주지 않습니다. 장시간 시청하면 브라우저가 멈춘다거나 클립 기능을 이용하지 못한다거나 하는 모습으로요.1그래서 저는 생방은 크로미움 계열로 봅니다. 사실 틀어놓는 용도로는 프로세스가 분리된게 편하기도 하구요.
사건 경위
그러던 와중에 최근들어 유튜브 영상 깨지며 끊기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고 가끔이요.2그래서 사실 해결됐는지 아직 모릅니다. 증상이 다시 나타나면 수정하러 올게요.
근데 진짜 브라우저 차별은 아닐거고, 아마 기술적인 문제일 겁니다. 그래야만 해요...